(가) 

한국 문학 작품들 사이에 면면히 흐르는 공통적인 특질을 ‘한국 문학의 전통’이라고 한다. 한국 문학에는 정(情)과 한(恨)의 정서를 담아낸 작품들이 많다. 그 중 한은 인간의 감정이 억눌려 응어리가 매듭처럼 맺힌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한은 수난이 잦은 역사의 비운이나 사회적 억눌림 그리고 어긋난 인간관계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하지만 한국 문학 작품들을 살펴보면 단순히 한으로 인한 아픔과 슬픔만을 그리지 않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풀이의 모습도 그리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문학은 ‘한의 문학’이자 ‘풀이의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김춘택의 「별사미인곡」은 평생 벼슬을 하지 못했던 그가 당쟁에 휘말려 유배를 갔을 때 지은 가사로 송강 정철의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의 영향을 받아 지어진 작품이다. 유배 가사를 비롯한 사대부들의 시가 작품 중에는 임금과의 관계가 어긋나게 되었을 때의 슬픔과 억울함 등을 담아낸 작품들이 있는데, 이때 임금을 이별한 임으로 설정하여 임금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을 표현하였다. 대개 이런 작품들은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정으로 한을 극복한다.


「봉산탈춤」은 황해도 봉산(鳳山) 지방에 전승되어 오던 가면극으로 재담을 통해 봉건적인 가족 제도와 양반의 무능과 허위, 부조리 등을 폭로하고 비판한다. 이러한 탈춤은 서민들을 억압하는 사회를 풍자하고, 양반을 비하하는 욕설, 행동 등을 거침없이 표현하여 서민들의 금지된 욕망을 드러낸다. 또한 익살스러운 말과 행동을 통해 대상을 조롱하고 희화화하여 서민들이 겪었던 갈등과 고통을 웃음으로 해소한다.



(나) 

이보소 저 각시님 설운 말씀 그만 하오 

말씀을 들어하니 설운 줄을 다 모르겠네 

인연인들 한가지며 이별인들 같을손가 

광한전(廣寒殿)[각주:1] 백옥경(白玉京)[각주:2]의 님을 뫼셔 즐기더니 

이별을 하였거니 재앙인들 없을손가 

해 다 저문 날에 가는 줄 설워 마소

어떻다 이내 몸이 견줄 데 전혀 없네 

광한전 어디메오 백옥경 내 알던가 

원앙침(鴛鴦枕) 비취금(翡翠衾)에 뫼셔본 적 전혀 없네 

내 얼굴 이 거동이 무얼로 님 사랑할고 

길쌈을 모르거니 가무(歌舞)야 더 이를가 

엇언지 님 향한 한 조각 이 마음을 

하늘이 삼기시고 성현이 가르치셔 

정확(鼎鑊)[각주:3]이 앞에 있고 부월(斧鉞)[각주:4]이 뒤에 있어 

일백 번 죽고 죽어 뼈가 갈리 된 후라도 

님 향한 이 마음이 변할손가 

나도 일을 가져 남의 없는 것만 얻어 

㉮ 부용화 옷을 짓고 목란으로 꽃신 삼아 

하늘께 맹세하여 님 섬기랴 원이려니 

조물 시기한가 귀신이 훼방 놓았는가 

(중략) 

님을 뫼셔 그러한 각시님 같았던들 

설움이 이러하며 생각인들 이러할가 

차생이 이렇거든 후생을 어이 알고 

차라리 싀어져 구름이나 되어 이셔 

상광 오색(祥光五色)이 님 계신 데 덮었으면 

그도 마다하면 바람이나 되어 이셔 

한여름 청음(淸陰)[각주:5]의 님 계신 데 불고지고 


― 김춘택, 「별사미인곡(別思美人曲)」


Photo by Ester Marie Doysabas on Unsplash



  1. * 광한전 : 달에 있다는 전설의 궁전. [본문으로]
  2. * 백옥경 : 옥황상제가 사는 서울. [본문으로]
  3. * 정확 : 죄인을 삶아 죽이는 가마. [본문으로]
  4. * 부월 : 도끼. [본문으로]
  5. * 청음 : 시원한 그늘.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