鷰子初來時 제비 한 마리 처음 날아와
喃喃語不休 지지배배 그 소리 그치지 않네
語意雖未明 말하는 뜻 분명히 알 수 없지만
似訴無家愁 집 없는 서러움을 호소하는 듯
楡槐老多穴 느릅나무 홰나무 묵어 구멍 많은데
何不此淹留 어찌하여 그곳에 깃들지 않니
燕子復喃喃 제비 다시 지저귀며
似與人語酬 사람에게 말하는 듯
楡穴鸛來啄 느릅나무 구멍은 황새가 쪼고
槐穴蛇來搜 홰나무 구멍은 뱀이 와서 뒤진다오
― 정약용, 「고시(古詩)」
Photo by chuttersnap on Unsplash
내용 이해를 위한 문항
44. ⓐ ~ ⓔ 중 (가)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오늘 수업 시간에 정약용의 「고시」가 조선 후기 지배층의 횡포와 피지배층의 고난을 드러낸 작품임을 배웠어. 이 작품에서 ⓐ ‘황새’와 ‘뱀’은 백성들을 괴롭히는 지배 세력을 상징하고, ⓑ ‘제비’는 지배 세력으로부터 착취당하는 백성들을 상징해. ⓒ 피지배층의 고난은 삶의 터전마저 빼앗기는 절박한 상황으로 그려지고 있어. ⓓ 그런 상황에서도 백성들은 현실에 굴하지 않는 꿋꿋한 모습을 보여. 이 작품을 통해 ⓔ 작가는 당대의 부정적 현실을 우회적으로 고발하고 있어.
'문학 > 고전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인로, 「사제곡」(2016, 고2, 11월) (1) | 2019.08.06 |
---|---|
가사의 개념+「상춘곡」+「갑민가」(2017, 고2, 11월)* (0) | 2019.07.29 |
「속미인곡」+「사노친곡」(2018, 고2, 11월)* (0) | 2019.07.29 |
박인로, 「상사곡」(2018, 고2, 9월)* (0) | 2019.07.24 |
「이화우 흩뿌릴 제~」+「사미인곡」(2018, 고2, 6월)* (0) | 2019.07.23 |
작자 미상, 「시집살이 노래」(2019, 고2, 6월)* (0) | 2019.07.22 |
이세보, 「상사별곡」(2019, 고2, 3월) (0) | 2019.07.22 |
「고공가」+「고공답주인가」(2018, 고2, 3월) (0) | 2019.07.21 |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