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가사(歌辭)는 두 마디씩 짝을 이루는 율문의 구조만 갖추면 내용은 무엇이든지 노래할 수 있었던 양식이다. 시조의 형식이 간결한 것에 비해 가사는 복잡한 체험을 두루 표현할 수 있을 만큼 길어질 수 있었다. 그래서 시조를 길이가 짧다는 의미에서 ‘단가(短歌)’라고 부르던 것과 구별하여 가사는 ‘장가(長歌)’라고도 불렀다. 조선 시대의 가사는 보통 15세기부터 16세기까지의 전기 가사와 17세기부터 19세기 전반까지의 후기 가사로 구분된다.


전기 가사는 대체로 사대부들에 의해 지어졌다. 관직에 있지 않은 사대부들은 자연에 묻혀 지내면서 자연에 대한 흥취나 자신들이 중요시 여기던 가치관을 가사를 통해 드러냈다. 그 구체 적인 모습으로 안빈낙도(安貧樂道)를 표방하기도 했으며, 이러한 경향이 ‘강호시가(江湖詩歌)’라는 한 유형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강호시가는 강호의 삶을 표방하기 위해 자연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자연에서 느끼는 일체감을 드러냈다. 여기서 자연이라는 공간은 속세와의 대비에서 그 의미가 구체화된다.


그런데 임진왜란을 경계로 하는 17세기 무렵부터의 후기 가사에 오면 몇 가지 변화가 생긴다. 작자층의 확대, 제재의 변화, 대상을 보는 시각의 다변화, 표현 방식의 다양화 등이 그것인데 이런 변화는 서로 밀접한 관계 속에서 형성된 것들이었다. 사대부로 제한되었던 가사의 작자층이 확대되자 다양한 관심사가 가사 작품으로 형상화되었고, 각각의 삶이 다른 만큼 대상을 바라보는 시각도 변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경건한 태도로 사물을 바라보고 형상화하던 데에서 나아가 풍자적이고 희화적인 방식으로 사물을 바라보고 표현하는 작품을 등장하게 하였고, 서민의 삶의 어려움이나 그들의 바람을 드러내는 작품을 등장하게 하기도 하였다. 또한 후기 가사는 체험한 일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을 중시하고, 이념적인 삶보다 현실의 문제를 가사의 제재로 전면에 내세우게 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조선 전기와 후기의 사회를 구분해 주는 특징이기도 하다.




Photo by Banter Snaps on Unsplash




Photo by Banter Snaps on Unsplash







이해를 돕는 문항들


32. (나), (다)의 표현상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설의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② 계절적 배경을 통해 애상[각주:1]적 분위기를 환기하고 있다.

대화의 형식[각주:2]을 통해 대상과의 친밀감을 드러내고 있다.

④ 대상을 의인화[각주:3]하여 대상의 긍정적 속성을 부각하고 있다. 

의성어[각주:4]를 사용하여 시적 상황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33. <보기>를 바탕으로 (다)의 [A] ~ [E]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갑민가」의 ‘갑민’은 함경도 갑산의 백성이라는 뜻인데, 갑산은 변방이자 오지라는 특성 때문에 유배지로 유명한 지역이다. 이 작품처럼 특정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은 독자에게 사실감을 부여하는데, 그 지역에서 행하는 민속을 드러내어 사실감을 높이기도 한다. 한편 이 작품이 창작된 시기에는 신분의 이동이 많이 발생하였고, 세금을 내지 못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 친족에게 세금을 대신 물리는 족징(族徵)의 폐해가 심각했는데, 이 작품에는 이러한 시대상이 잘 반영되어 있다.


① [A]: 갑민의 처지가 바뀌게 된 원인이 제시되어 있군.

② [B]: 갑민이 족징을 당하게 되는 과정이 드러나 있군.

③ [C]: 실제 지명을 언급하여 작품의 사실성을 높이고 있군.

④ [D]: 갑산 지역에서 돈피 사냥에 앞서 행하던 민속을 짐작할 수 있군. 

⑤ [E]: 갑민이 유배를 가는 길에서 겪은 시련을 엿볼 수 있군.[각주:5]




  1. 반드시 알아야 하는 문학 개념어. [본문으로]
  2. 반드시 알아야 하는 문학 개념어. [본문으로]
  3. 반드시 알아야 하는 문학 개념어. [본문으로]
  4. 반드시 알아야 하는 문학 개념어. [본문으로]
  5. [E]는 갑민이 돈피 사냥에 실패한 후 겪은 시련을 보여 주는 것이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