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Markus Spiske on Unsplash

 

 

가격이 시장에서 수요자와 공급자들의 의사 결정을 ㉠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듯이 국제 가격도 국제 거래에서 수요자와 공급자들의 의사 결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러 국제 가격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명목환율과 실질환율을 들 수 있다.

 

명목환율은 한 나라의 통화와 다른 나라 통화 사이의 교환 비율이다. 그런데 미국의 달러화가 기축통화 * 이기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 1달러와 교환되는 자국 화폐 단위를 표시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 경향이 있다. 가령, 1달러가 우리나라 원화 1,000원과 교환된다면 ‘원/달러 명목환율’은 ‘1,000원/달러’로 표시한다. 만일 1달러와 교환되는 원화가 1,100원이 되어 원/ 달러 명목환율이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원화의 가치는 하락한다. 같은 원리로 원/달러 명목환율이 하락하면 상대적으로 원화의 가치는 상승한다. 이러한 명목환율은 한 나라의 통화가 가지는 대외적 가치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실질환율은 두 나라 사이의 재화나 서비스 교환 비율로, 외국 상품 한 단위와 교환되는 국내 상품 단위수로 표시한다. ‘원/달러 실질환율’은 ‘원/달러 명목환율

’과 ‘각 나라의 통화 단위로 표시된 두 나라 물건 값

’의 곱으로 구한다. 원/달러 명목환율이 1,000원/달러이고 우리나라 쌀 1㎏의 값이 2,000원, 미국 쌀 1㎏의 값이 1달러라고 하자. 두 나라 쌀 사이의 원/달러 실질환율은  

이 된다. 이는 미국 쌀 1㎏과 우리나라 쌀 0.5㎏이 같은 값으로 교환된다는 의미이므로, 우리나라 쌀값이 미국 쌀값의 2배라고 볼 수 있다. 만일 우리나라 쌀값이 미국 쌀값보다 상승폭이 크면  

이 작아지게 되므로, 원/달러 실질환율이 하락하게 된다. 이것은 우리나라 쌀의 국제적인 가격경쟁력이 하락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미국 쌀값이 우리나라 쌀값보다 상승폭이 크면 원/달러 실질환율이 상승하게 되어 우리나라 쌀의 국제적인 가격경쟁력도 상승한다. 실질환율은 외국 통화에 대한 자국 통화의 상대적인 구매력이 ㉢ 반영된 것이므로 한 나라 상품의 국제적인 가격경쟁력을 측정하는 데 널리 이용된다.

 

한 나라의 실질환율은 재화나 서비스의 수출과 수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므로 실질환율의 변화는 국내외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의 실질환율이 상승하면 우리나라 제품의 값이 외국 제품에 비해 더 싸지므로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이 감소하여 국내 경기가 활성화된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실질환율이 하락하면 우리나라 제품의 값이 외국 제품에 비해 더 비싸지므로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하여 국내 경기가 ㉣ 침체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실질환율 하락으로 큰 ㉤ 타격을 입을 수 있다.

 

* 기축통화: 국제 거래에서 주된 교환 수단으로 쓰이는 특정 나라의 통화(화폐).

 

― (출전) 맨큐(N. Gregory Mankiw), 「맨큐의 경제학」(재구성)

 

 

 

 

이해를 돕는 문항

 

23. 윗글의 서술상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대상의 특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피고 있다.

② 대상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

③ 잘 알려진 대상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④ 대상의 개념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예를 들고 있다.[각주:1]

⑤ 대상의 변화 과정을 제시하고 이유를 분석하고 있다.

 

 

24.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명목환율은 두 나라 통화 사이의 교환 비율이다.

② 명목환율을 대체하기 위해 만든 국제 가격이 실질환율이다.[각주:2]

③ 실질환율이 하락하면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하게 된다. 

④ 명목환율과 실질환율은 국제 거래에서 의사 결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⑤ 실질환율은 외국 통화에 대한 자국 통화의 상대적인 구매력을 반영한 교환 비율이다.

  1. 2문단에서는 명목환율에 대해서, 3문단에서는 실질 환율에 대해서 각각 개념을 설명하고 그에 대한 예를 제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본문으로]
  2. 2문단 마지막에서 명목환율은 ‘한 나라의 통화가 가지는 대외적 가치를 보여’주는 것이며 3문단 마지막에서 실질환율은 ‘한 나라 상품의 국제적인 가격경쟁력을 측정하는 데’ 이용된다고 하여 서로 다른 쓰임새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무엇이 무엇을 대체한다고 볼 수 없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