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Markus Spiske on Unsplash



금융 상품에는 주식, 예금, 채권 등 다양한 유형의 투자 상품이 있다. 그 중 주식은 예금에 비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손실의 가능성이 크고, 예금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익을 얻지만 손실의 가능성이 적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의 투자 성향에 따라 각기 다른 금융 상품을 선호한다. 금융 회사는 이러한 고객의 성향을 고려하여 고객에게 최적의 투자 상품을 추천한다. 그렇다면 금융 회사가 고객들의 투자 성향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금융 회사는 투자의 기대 효용에 대한 고객들의 태도 차이를 기준으로 고객들을 위험 추구형, 위험 회피형 등으로 분류한다. 투자의 기대 효용이란 투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의 기댓값으로, 투자 수익에 그것이 발생할 확률을 곱한 값과 투자 손실에 그것이 발생할 확률을 곱한 값의 총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떤 금융 상품 ㉮에 500원의 비용을 들여 투자할 때 40%의 확률로 2,000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고, 60%의 확률로 투자한 500원을 모두 잃는다고 가정해 보자. 그렇다면 이 상품의 기대 효용은 투자 수익인 2,000원에 40%를 곱한 값(2,000 × 0.4 = 800)과 투자 손실인 –500원에 60 %를 곱한 값(-500 × 0.6 = -300)의 총합인 500원이 된다.


고객들의 투자 유형은 투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 효용과 투자를 하지 않고 화폐를 보유할 때의 효용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나눌 수 있다. 투자보다 화폐 보유를 선호하면 위험 회피형이고 투자를 통한 기대 효용을 선호하면 위험 추구형이다. 즉, 투자한 500원을 모두 잃을 수 있음에도 금융 상품 ㉮에 투자하려는 사람은 위험 추구형이고, 손실을 우려하여 500원을 투자하지 않고 화폐로 보유하려는 사람은 위험 회피형이다.




이처럼 기대 효용이 같더라도 소비자들이 보이는 태도에는 차이가 있는데, 이를 한계효용* 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위의 그래프는 어떤 사람이 느끼는 화폐에 대한 효용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를 보면 투자에 성공해서 화폐가 a에서 a + 1로 1단위 증가할 경우 한계효용은 15와 18 의 차인 3이 된다. 반대로 투자에 실패하여 화폐가 a에서 a - 1로 1단위 감소할 경우 한계효용은 15와 10의 차인 5가 된다. 이 사람은 투자에서 성공했을 때 오는 만족(3)보다 투자에서 실패했을 때 오는 불만족(5)을 더 크게 인식하므로 투자를 하지 않는 위험 회피형의 성향을 보일 것이다. 만일 ㉠ 투자 실패로 인한 불만족보다 투자 성공으로 인한 만족을 더 크게 여기는 경우에는 위험 추구형 성향을 보이게 될 것이다.


금융 회사는 이러한 고객들의 투자 성향을 분류하여 위험 회피형인 고객에게는 예금과 같이 안전성이 높은 상품을 추천하고, 위험 추구형인 고객에게는 손실의 위험이 있더라도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 상품을 추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금융 상품을 추천했을 때, 금융 회사는 더 많은 고객들과 더 많은 투자 자금을 유치할 수 있게 된다.


* 한계효용 : 일정한 종류의 재화가 잇따라 소비될 때 최후의 한 단위로부터 얻어지는 심리적 만족도.



― 서승환, 『미시 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