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Keila Hötzel on Unsplash
삼단 논법이란 두 개의 전제와 하나의 결론, 즉 세 단계의 명제로 구성된 추리 방식을 말한다. 전제가 모두 참일 때 거짓인 결론이 도출될 수 없는 추론 형식을 타당하다고 한다. 논리학에 있어 타당성은 추론 절차의 올바름을 뜻하며, 이는 명제의 참ㆍ거짓과는 관계가 없다. 전통 논리학에서는 삼단 논법을 이루는 세 명제들의 성질과 관계를 분석하여 타당한 추리의 형식을 체계화하였다.
삼단 논법의 타당성을 결정하는 요소들 중 하나는 주연(周延)이다. 주연은 명제에서 주어 개념이나 술어 개념이 그 대상의 전부를 지칭하느냐 아니냐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명제 안에서 어떤 개념이 그 대상의 전부를 지칭하도록 사용되었을 때 ‘주연되었다’고 하고 그 대상의 일부분만 지칭하도록 사용되었을 때 ‘부주연되었다’고 한다. 다음 삼단 논법의 예를 보자.
대전제: 모든 남학생들은 축구팬이다.
소전제: 모든 이 학교의 학생들은 남학생들이다.
결 론: 그러므로 모든 이 학교의 학생들은 축구팬이다.
삼단 논법의 세 명제는 세 개념의 관계를 나타낸다. 위 삼단 논법에는 ‘남학생들’, ‘축구팬’, ‘이 학교의 학생들’이라는 세 개념이 등장한다. 이 중 결론의 주어 개념인 ‘이 학교의 학생들’을 소개념이라 하고, 소개념이 들어 있는 전제를 소전제라고 한다. 그리고 결론의 술어 개념인 ‘축구팬’을 대개념이라 하고, 대개념이 들어 있는 전제를 대전제라고 한다. 또 두 전제에 공통적으로 등장하여 소개념과 대개념의 매개 역할을 하는 ‘남학생들’을 매개념이라고 한다. 여기서 대전제의 ‘남학생들’은 이 세상의 모든 남학생들을 지칭하므로 주연되었다. 그런데 소전제의 ‘남학생들’은 이 세상의 모든 남학생들 중에서 ‘이 학교의 학생들’인 남학생만을 지칭하므로 부주연되었다. 따라서 위 삼단 논법에서 매개념인 ‘남학생들’은 대전제에서 주연되고 소전제에서 부주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주연과 관련하여 삼단 논법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한 가지 법칙은 ㉠‘타당한 삼단 논법에서는 매개념이 적어도 한 번은 주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매개념은 대전제와 소전제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같은 대상을 지칭하는 것처럼 보여도 각각에서 부주연되었을 때 지칭하는 범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두 전제에서 각각 대상의 서로 다른 부분을 지칭하고 있다면 결론이 타당하게 도출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를 ‘매개념 부주연의 오류’라고 하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대전제: 어떤 남학생들은 축구팬이다.
소전제: 모든 이 학교의 학생들은 남학생들이다.
결 론: 그러므로 모든 이 학교의 학생들은 축구팬이다.
위 삼단 논법에서 두 전제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매개념은 ‘남학생들’이다. 그런데 대전제의 ‘남학생들’은 ‘어떤 남학생들’이므로 전체 남학생들의 일부만을 지칭한다. 소전제의 ‘남학생들’ 역시 ‘이 학교의 학생들’인 남학생만을 의미하므로 남학생들의 일부만을 지칭하고 있다. 즉, 매개념이 두 전제에서 다 부주연되었다. 따라서 ‘모든 이 학교의 학생들은 축구팬이다.’라는 결론은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된다.
― 소흥렬, 『논리와 사고』
23.윗글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삼단 논법에서 대개념은 대전제와 결론에 등장한다.
② 삼단 논법은 세 단계의 명제로 구성된 추리 방식이다.
③ 삼단 논법에서 결론은 주어 개념과 술어 개념으로 이루어져 있다.
④ 삼단 논법에서 추론 형식의 타당성은 전제가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1
⑤ 삼단 논법에서 ‘주연’과 ‘부주연’은 개념이 지칭하는 대상의 범위에 관한 용어이다.
24.㉠의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매개념이 두 전제에서 모두 주연되면, 매개념이 소전제와 결론에서 지칭하는 부분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② 매개념이 두 전제에서 모두 주연되면, 매개념이 대전제와 소전제에서 서로 다른 부분을 지칭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③ 매개념이 두 전제에서 모두 부주연되면, 매개념이 대전제와 결론에서 지칭하는 부분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④ 매개념이 두 전제에서 모두 부주연되면, 매개념이 대전제와 소전제에서 지칭하는 부분이 같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⑤ 매개념이 두 전제에서 모두 부주연되면, 매개념이 대전제와 소전제에서 지칭하는 부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2
25.윗글을 읽고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① ‘철학자’는 결론의 주어 개념이므로 소개념이다.
② ‘합리적인 사람’은 두 전제에 모두 등장하는 개념이므로 매개념이다.
③ 소전제의 ‘합리적인 사람’은 합리적인 사람의 일부만을 지칭하므로 부주연되었다.
④ 매개념이 두 전제에서 모두 부주연되었으므로 결론은 타당하지 않다.
'독서 > 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후 과잉 확신 편향(2015, 고3, 3월B) (0) | 2019.09.16 |
---|---|
신채호의, 아와 비아의 투쟁(2014, 수능B)* (0) | 2019.09.15 |
칸트의 취미 판단 이론(2014, 수능AB)* (0) | 2019.09.15 |
경험주의 철학자들 - 로크·버클리·흄(2014, 고3, 10월B)* (0) | 2019.09.04 |
맹자의 ‘의’ 사상(2014, 9월모평B) (0) | 2019.09.02 |
범주화 이론(2015, 고2, 3월)*^ (0) | 2019.09.02 |
통섭과 이에 대한 비판(2015, 고2, 6월)* (0) | 2019.08.26 |
주체 개념의 비판(2015, 고2, 9월)* (0) | 2019.08.26 |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