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Weston Owen on Unsplash



르네상스는 신 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 인간 중심의 문화를 추구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미술계에서도 이러한 추세에 영향을 받아 현실을 인간의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리려는 노력이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그래서 미술사에서는 사실적인 미술의 시작을 15세기 르네상스로 본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화면에 재현하려면 3차원의 현실을 2차원의 캔버스로 변환해야 하는데, 그 변환 기법이 ‘선 원근법’이다. 15세기 이전의 화가들도 원근법을 사용했지만, 이때의 원근법은 기하학에 바탕을 둔 선 원근법이 아니라 경험적 원근법이었다. 그들은 거리가 멀어지면 크기가 얼마나 작게 보이는지 정확하게 계산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림에 어색한 부분이 많았다. 반면 15세기의 선 원근법은 기하학에 바탕을 두고 정확한 비례를 계산해서 그리는 기법이다. 화가들은 선 원근법을 사용하여 비로소 현실의 공간을 정확한 비례에 따라 화폭에 재현할 수 있었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선 원근법을 익혔다. 우선 화가와 대상 사이에 격자무늬가 그어진 투명한 창인 그리드를 세우고, 화가의 눈 앞에는 구멍이 뚫린 기구인 파인더를 놓는다. 화가는 파인더의 구멍을 통해 그리드 너머로 보이는 대상을 책상 위의 모눈종이에 옮겨 그린다. 화가는 그림이 다 끝날 때까지 눈을 떼면 안 된다. 눈을 움직이면 바라보는 위치가 달라져 선 원근법의 적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드는 정확한 상을 얻는 데에는 유용했지만 사용하기에는 불편했다. 화가들은 이런 연습을 장기간 한 후에야 그리드를 세우지 않고 대상을 선 원근법에 따라 그릴 수 있었다.


선 원근법에 따라 그림을 그리던 화가들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사물의 형태나 색채가 흐릿해지는 데에도 주목하였다. 이것은 대기 중의 공기 즉, 수분과 먼지가 빛을 난반사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화가들은 이러한 특징을 감안하여 세밀한 붓질로 물체의 윤곽을 문질러 흐릿하게 처리하였는데 이것을 ‘공기 원근법’이라 한다. 이 방법은 가까운 것은 진하고 선명하게, 먼 것은 흐리고 엷게 표현하여 공간의 사실감을 한층 높여 주었다.


㉠당시의 화가들은 현실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선 원근법, 공기 원근법 외에도 해부학, 명암법 등을 전문적인 교육 기관에서 배워야 했다. 그런데 화가들의 이러한 고된 상황은 카메라 옵스큐라의 출현으로 개선될 여지가 있었다. 카메라 옵스큐라는 어두운 방의 한 부분에 구멍을 뚫어 밖의 풍경이 구멍을 통해 들어와 맞은편 막에 상을 맺히게 하는 장치이다. 화가들은 그 막에 종이를 대고 맺힌 상을 베끼기만 하면 밖의 풍경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었다. 이 장치는 초기에는 너무 커서 이용에 불편했지만 나중에는 갖고 다닐 수 있을 정도로 작아져 많은 화가들이 이용했다. 당시의 그림 중에는 놀랄 만큼 정교한 것이 있는데, 그것은 화가의 실력이 늘어서이기도 하겠지만 카메라 옵스큐라의 사용과 무관하지 않다.


― 박우찬, 『미술 이렇게 세상을 본다』







16.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르네상스 미술을 바라보는 통념을 비판하고 있다.

② 르네상스 미술을 감상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③ 르네상스 미술과 관련된 기법과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각주:1]

④ 르네상스 미술이 종교에 끼친 파급 효과를 점검하고 있다.

⑤ 르네상스 미술의 기원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소개하고 있다.


17.윗글로 미루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15세기 이전에도 화가들은 원근감을 고려하였다.

② 선 원근법은 르네상스 문화를 토대로 태동되었다.

③ 카메라 옵스큐라는 풍경을 그대로 재현하는 데 유용했다.

④ 경험적 원근법은 선 원근법과 공기 원근법의 성과로 완성되었다.[각주:2]

⑤ 공기 원근법을 사용한 화가들은 멀리 있는 사물의 윤곽을 흐릿하게 처리하였다.



18.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그림의 책상 위에 놓인 그리드는 르네상스 시기 어느 화가가 풍경을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리기 위해 사용한 것이다.

① 그리드는 기하학적 방법을 회화에 응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겠군.

② 그리드를 이용하여 먼 곳의 풍경을 진하고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었겠군.[각주:3]

③ 그리드를 사용하여 3차원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화면에 재현하려 했겠군.

④ 그리드를 사용할 때 불편한 점이 있었겠지만 정확한 상을 얻기 위해 그것을 감수했겠군. 

⑤ 그리드의 사용 외에도 공기 원근법, 해부학, 명암법 등을 사용하면 풍경을 보다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었겠군.



19.<보기>의 ‘고갱’이 ㉠을 비판한다고 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19세기 화가 고갱은 미술이 단순히 눈으로 본 것을 그리는 정도라면 그림을 그릴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마음의 눈으로 화가의 순수한 감정과 정신을 그려 나갔다. 

① 선명하고 강렬한 색채가 드러나야 사실적인 미술이 될 수 있습니다.

② 내면의 불안이나 공포에 주목해야 현실을 화면에 똑같이 옮길 수 있습니다.

③ 대상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과학적 사고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④ 자연보다는 인간의 문명에 초점을 맞춰 그 성과를 드러내는  그림을 그려야 합니다.

⑤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기보다는 마음의 눈으로 화가의 내면세계를 표현해야 합니다.[각주:4]

  1. 제시문은 르네상스 시기의 화가들이 사실적인 그림을 그리기 위해 따랐던 미술상의 기법과 그들이 활용했 던 장치를 중심 화제로 다루고 있다. [본문으로]
  2. 경험적 원근법은 15세기 이전의 원근법을 가리킨다. 선 원근법은 15세기 르네상스 이후의 원근법을 가리킨다. 따라서 시기적으로 경험적 원근법이 선 원근법 보다 앞서므로 ‘경험적 원근법이 선 원근법의 성과로 완성되었다’는 진술은 성립할 수 없다. [본문으로]
  3. ②에서 ‘먼 곳의 풍경을 진하고 선명하게’ 표현하는 것은 그리드의 사용과는 관련 없다. [본문으로]
  4. <보기>의 화가 고갱은 ‘눈으로 본 것을 그리는 정도의 그림’은 그릴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며 ‘순수한 감정과 정신’을 그리려 했다. 이로부터 고갱은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리려는 화가들에 대해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기보다는 마음의 눈으로 화가의 내면세계를 표 현해야 한다’고 비판할 수 있으리라는 점을 이끌어낼 수 있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