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게오르크 가다머
우리는 세계를 어떻게 이해하게 되는가? 우리가 어떤 것을 이해할 때 아무 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새로운 이해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해를 위해서는 이해의 배경이 되는 지식이 필요하다. 현대 해석학의 거장인 가다머는 ‘선이해’와 ‘지평 융합’의 개념을 도입하여 세계에 대한 이해를 설명하고 있다.
선이해란 어떤 대상에 대해 미리 판단하는 일종의 선입견을 의미한다. 이성적인 이해를 중시했던 ㉠계몽주의 학자들은 선입견을 올바른 이해를 가로막는 잘못된 생각이라 보았다. 그들에 따르면 선입견은 개인의 권위나 속단에서 비롯된 비이성적인 것이다. 이와 달리 가다머는 세계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선입견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가 제시하는 선입견이란 개인적 차원에서 임의로 만들거나 제거할 수 있는 편협한 사고가 아니라, 문화나 철학, 역사와 같이 과거로부터 전승되어 온 전통에 의해 형성된 사고를 뜻한다. 이러한 선입견은 이해의 기본 조건으로, 우리가 세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선이해를 기본 조건으로 하는 이해의 과정은 어떠한가? 가다머는 이를 ‘현재 지평’과 ‘역사적 지평’이 결합되는 ‘지평 융합’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가 말하는 현재 지평이란 인식의 주체가 선이해를 바탕으로 형성한 이해로, 이해 주체의 머릿속에 형성된 지식이나 신념 등과 관련이 있다. 반면 역사적 지평이란 과거로부터 축적되어 온 이해의 산물로, 텍스트를 통해 전해 내려오는 수많은 지식들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해의 과정이란, 서로 다른 두 지평이 만나 새로운 지평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현재 지평은 역사적 지평과의 융합을 통해 상호작용하면서 끊임없이 수정되고 확장되어 나간다. 따라서 두 지평이 융합된 결과 형성된 지평은 주체가 기존에 가졌던 현재 지평과 다른 새로운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이해의 과정으로서 지평 융합은 일회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주체가 가진 현재 지평은 역사적 지평과 융합하여 새로운 지평이 되고, 이것이 다음 이해의 선이해로 작용하며 또 다른 이해로 이어지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순환 과정을 고려할 때, 이해는 결과가 아니라 언제나 도상(途上)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가다머가 말하는 세계에 대한 이해는 완성된 것이 아니라 과정에 있는 것이며,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확장되어 가는 것이다.
―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 『진리와 방법2』
'독서 > 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고학의 유물 해석 이론들(2014, 6월모평A) (0) | 2018.06.12 |
---|---|
랑케와 드로이젠이 역사적 사실을 대하는 방식(2014, 고3, 4월B) (0) | 2018.06.11 |
조화(調和)로서의 '정의'(2014, 고3, 4월A)^ (1) | 2018.06.08 |
‘포스트휴먼’의 등장과 인간성에 대한 의문(2014, 고3, 3월B) (2) | 2018.06.07 |
심신 이원론과 심신 일원론(2013, 수능B) (2) | 2018.06.02 |
토인비의 역사 연구(2013, 수능A) (0) | 2018.06.02 |
정약용 : 실천적 책임의 윤리학(2013, 고3, 10월B) (0) | 2018.06.02 |
고통의 의미와 레비나스 윤리학(2013, 고3, 10월A) (1) | 2018.06.02 |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