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무위키


보통 여러 사람들이 모여 서로 이야기를 하면 다양한 의견이 반영되기 때문에 보다 합리적인 결론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 집단적 의사 결정을 할 때, 사람들은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기보다 극단적인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집단의 최초 의견이 모험적인 경우는 더 모험적인 방향으로, 보수적인 경향이었다면 더 보수적인 경향으로 결정되는 극단화되는 현상을 ‘집단극화(group polarization)’라 한다.


그렇다면 집단극화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사회비교 이론’은 집단 구성원들이 자신을 타인과 비교하는 경향이 있으며,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는 것으로 설명한다. 집단토의 중에 자기의 주장이 상대의 주장보다 못하다 는 생각이 들면 좀 더 극단적인 의견을 제시하게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친구들과 관람한 영화가 보통 정도는 되는 영화라고 생각했어도 ‘정말 형편 없었어.’라고 주장하는 친구들이 더 많으면, 자신도 재미가 별로 없었다는 것을 친구들보다 더 강화된 근거로 제시하여 집단으로부터 지지받는 입장을 밝히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집단의 의견은 극단적인 방향으로 가게 된다.


둘째, ‘설득주장 이론’은 집단 토의가 진행되면 새로운 정보나 의견을 접하게 되어 이전에는 생각지 못했던 다양하고 설득력 있는 의견에 구성원들이 솔깃하게 된다는 것으로 설명한다. 집단 의견의 방향과 일치하면서 그럴듯한 주장이 제시되면 극단의 의견이 더 설득적이라 생각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집단의 결정이 양극의 하나로 정해진다는 것이다.


셋째, ‘사회정체성 이론’은 집단극화를 집단 규범에 동조하는 현상과 관련지어 설명한다. 사회 정체성 수준이 높은 구성원일수록 자신이 속한 내집단과 자신을 동일시한다. 이에 따라 내집단에서 생긴 의견 차이는 극소화되고, 집단의 규범에 강하게 영향을 받게 되어 집단 규범에 동조하는 행동을 한다. 즉, 내집단 구성원 간의 의견차는 극소화되는 반면 외집단과 내집단의 차이는 극대화되어 시간이 갈수록 내집단의 의견은 다른 집단의 의견과 차별화되고 외집단과는 다른 극단적인 방향으로 전환된다. 정치적 경향이 달랐던 두 정당이 시간이 지날수록 화합하지 못하고 견해차가 더 심화되는 것이 이러한 예에 해당한다.


이렇게 집단극화 현상으로 인해 다른 대안의 고려나 다양한 사고 없이 집단의 결정을 내리게 되는 잘못된 의사 결정 과정을 ‘집단 사고’라 한다. 이러한 집단 사고의 부정적 경향성은 응집력이 높은 집단, 외부로부터의 의견수렴이나 비판이 배제된 집단, 지나치게 권위적인 리더가 존재하는 집단, 대안을 제시하고 평가할 수 있는 민주적 절차가 없는 집단, 높은스트레스 상 황에 처한 집단의 경우에 강화된다. 때문에 합리적 의사 결정을 위한 집단의 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 홍대식, '사회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