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1996 (7)

독서/인문

사상의 가치와 행동의 관계(1996, 수능)

사상(思想)은 개인의 소산이라기보다는 사회 공동체의 소산이다. 개인의 생각은 사람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지만, 그것의 원형(原形)이 되는 사상들은 사회적 산물이다. 개인은 그 원형들 중에서 하나 혹은 몇 개의 사상들을 주관에 따라 선택하여 자신만의 사상을 만들어 간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로 외부에 존재하던 사상들이 개인의 마음 속에 들어 왔을 때 반드시 통일되거나 조화를 이루는 것만은 아니다. 서로 모순(矛盾)되는 생각들이 마음 속에서 서로 엉크러져 판단에 혼돈을 일으키게 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기 때문이다. 개인이 수용한 사상들은 처음에는 대개 여러 갈래로 갈려서 마음 속에서 웅성거린다. 이러한 생각의 ㉠웅성거림은 일단 그의 사상이 풍부함을 의미한다. 행동적인 인간은 이 중 어느 하나의 사상이 우..

독서/독서이론・언어

우리말 가꾸기(1996, 수능)

일찍이 주시경 선생은 말과 글을 정리하는 일은 집안을 청소하는 일과 같다고 말씀하셨다. 집안이 정리가 되어 있지 않으면 정신마저 혼몽해지는 일이 있듯이 우리말을 갈고 닦지 않으며 국민 정신이 해이해지고 나라의 힘이 약해진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러한 정신이 있었기 때문에 일제가 통치하던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우리 선학(先學)들은 우리말과 글을 지키고 가꾸는 일에 혼신의 정열을 기울일 수 있었던 것이다. 나는 얼마 전 어느 국어학자가 정년을 맞이하면서 자신과 제자들의 글을 모아서 엮어 낸 수상집의 차례를 보고 우리말을 가꾸는 길이란 결코 먼 데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깊이 깨달은 일이 있다. ㉠차례를 ‘첫째 마당, 둘째 마당’과 같은 이름을 사용하여 꾸몄던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흔히 쓰는 ‘평평하게 닦..

독서/사회

사회복지 방법론(1996, 수능)

(가) 사회 복지는 “누구든지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훼손당하지 않으면서 인간답게 살 수 있어야 한다”라는 이념을 전제로 한다. 사회 복지 실천을 위한 방법론은 바로 이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서 발달하였다. 사회 복지 방법론은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필요한 전문 지식과 기술로 구성되는데, 이는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개인에 초점을 맞추고 문제를 개별화하여 그 해결 방안을 찾는 미시적 방법론이고 다른 하나는 문제를 집합적으로 보면서 전체적인 사회 차원에서 그 해결 대책을 강구하는 거시적 방법론이다. 사회 복지 전문가들은 이러한 방법론에 따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로부터 문제를 찾아내어 그 원인을 진단해 냄으로써 ㉡그들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독서/과학

과학과 예술의 공통점(1996, 수능)

(가) 사람들은 좋은 그림을 보거나 음악을 들으면 쉽게 감동을 느끼지만 과학 이론을 대하면 복잡한 논리와 딱딱한 언어 때문에 매우 어렵다고 느낀다. 그래서 흔히 과학자는 논리적 분석과 실험을 통해서 객관적 진리를 규명하고자 노력하고, 예술가는 직관적 영감에 의존해서 주관적인 미적 가치를 추구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통념이 아주 틀린 것은 아니지만, 돌이켜 보면 많은 과학상의 발견들은 직관적 영감이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었던 것들이었다. (나) 아인슈타인은 누구에게나 절대적 진리로 간주되었던 시간과 공간의 불변성을 뒤엎고, 상대성 이론을 통해 시간과 공간도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정형화된 사고의 틀을 깨는 이러한 발상의 전환은 직관적 영감에서 나온 것으로, 과학의 발견에서 직관적 영감이 얼마나..

독서/예술

스포츠, 춤, 미술의 공통 욕구(1996, 수능)

(가) 생명의 진화 과정에서 중요한 사건 중의 하나는 생물이 바다에서 나와 육상으로 진출한 것이다. 그러나 최초로 육상에 진출한 생물은 중력이라는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다. 물 속에서는 부력 때문에 덜했지만, 지상에서는 중력 때문에 무거운 몸을 움직이기 힘들었던 것이다. 이 때부터 육상동물은 ⓐ중력과의 투쟁을 시작했다. 육상 동물은 다리가 어정쩡한 상태로 기어다니던 양서류에서 완전히 수상 생활과 결별한 파충류를 거쳐 좀더 긴 다리와 튼튼한 근육을 가진 포유류로 진화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지면에서 점차 몸통을 높이 일으킬 수 있게 된 것이다. 한편, 조류는 몸의 무게를 줄이고 모양을 유선형으로 만들어 하늘을 날 수 있게 되었다. 인간은 또 다른 방식으로 중력에 저항한 경우에 속한다. 인간은 두 발로 서게 됨..

독서/사회

한국의 전통적 명분관(1996, 수능)

한국인의 전통적 명분관은 기본적으로 신분 질서나 상하의식에 따라 각각의 분수를 지키도록 규정하여 사회적 역할을 제한하는 계층적 명분론의 성격을 지니며, 동시에 개인이나 사회가 당면하는 문제에 대응하는 판단이나 행위에 대하여 그 정당성을 부여하는 도덕적 명분론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계층적 명분관은 사회 내에 엄격한 계층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사회의 질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하였다. 가령, 부모와 자녀, 부부, 형제, 고부(姑婦)등 가족 구성원 사이에서 나타나는 계층적 성격에 따라 각자에게 명분을 부여함으로서 가족적인 질서를 지탱해 주었던 것이 그 예이다. 이러한 명분관에 따라 부모의 도리나 자식의 도리 또는 임금의 도리나 신하의 도리 등, 각자 지켜야 할 도리가 명분으로 주어지게 되면,..

문학/고전산문

김인복설화(어우야담)(1996, 수능)

김인복(金仁福)이 소시에 노상에서 한 시골 선비를 만났는데 수정 갓끈을 달고 있었다. ㉠그 갓끈이 너무 짧아서 겨우 턱 밑 을 돌아갔다. 인복이 말을 세우고 채찍을 들어 읍하고 말하였다. ㉡“아, 아름답구나, 저 수정 갓끈이여! 천하일품이구려. 나의 가산을 기울여서라도 당신의 갓끈을 갖고 싶소.” 그 사람이 묻기를 “당신 집이 어디요?” “내 집은 숭례문 밖 청파리라오. ㉢내일 아침에 배다리만 찾 아오우. 게서 김인복이를 물으면 행길에 누군들 모르겠소.” 서로 언약을 하고 헤어졌다. ㉣이튿날 인복이 잠자리에서 일어나기도 전에 그 사람이 대문으로 들어섰다. ㉤인복이 마루 끝으로 나와 채마밭 머리에 평상을 내놓고 앉게 하였다. 인복이 말을 꺼내었다. “우리집 논이 동성(東城) 흥인문(興仁門)밖에 있는데 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