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Toa Heftiba on Unsplash
지대는 토지를 빌려주고 얻는 대가를 말한다. 지대의 개념과 성격에 관한 논의는 고전경제학파의 리카도로부터 이론적으로 정교화되기 시작했다. 그의 차액지대론은 지대가 발생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가령, 어떤 나라의 A, B, C 지역에 쌀 생산에만 쓰이는 토지가 있는데 그 비옥도에 차이가 있어 각 지역 토지에서의 쌀 한 가마당 생산비가 5만 원, 6만 원, 8만 원이라고 하자. 여기서 생산비는 투입한 노동과 자본에 대한 대가로, 쌀의 가격은 생산비와 일치하는 것으로 본다. 이 나라의 쌀 수요량이 적어서 A 지역 토지의 일부만 경작해도 그 수요를 충당할 수 있을 때 전국의 쌀 한 가마당 가격은 A 지역 토지에서의 쌀 생산비인 5만 원에서 결정될 것이다. 그런데 쌀 수요량이 증가하게 되면 어느 순간 A 지역 토지들로 모자라 B 지역 토지도 경작 되기 시작할 것이다. 이때 B 지역 토지를, 경작되는 토지 가운데 가장 열악한 땅이라는 의미에서 한계지라 부른다. B 지역 토지가 한계지가 되면 전국의 쌀 한 가마당 가격은 6만 원으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A 지역 토지를 경작하는 사람들은 5만 원을 들여 6만 원을 벌 수 있어 쌀 한 가마당 1만 원의 소득을 추가로 얻게 된다. 이 소득은 사람들로 하여금 A 지역 토지를 이용하려는 경쟁을 유발하고 지주에게 땅을 빌리기 위해 경쟁적으로 더 높은 지대를 제시하게 함으로써, 지대는 결국 기존의 A 지역 토지 경작자들의 추가 소득인 1만 원으로 결정될 것이다. 쌀 수요량이 더 늘어나서 C 지역 토지가 한계지가 되면 ㉠ A 지역 토지의 지대는 더 오르고, B 지역 토지에도 지대가 형성된다. 결국 쌀의 가격은 한계지에서의 쌀 생산비가 되고, 한계지보다 비옥도가 높은 토지들의 지대는 그 토지에서의 쌀 생산비와 한계지에서의 쌀 생산비의 차액이 되는 것이므로, 더 열악한 땅이 한계지가 될수록 쌀 가격은 오르고 그에 따라 지대도 오르게 된다.
이와 같이 ⓐ 리카도는 지대를, 토지 생산물의 가격에서 생산비를 뺀 나머지, 즉 잉여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이는 지대를 토지 생산물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비용이 아니라 토지 생산물의 가격이 오름으로써 얻게 되는 불로소득에 불과하다고 본 것이다. 이런 고전경제학파의 지대론에 입각해 헨리 조지는 지대 전액을 조세로 걷어야 한다는 지대 조세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고전경제학파에 이어 등장한 초기 신고전경제학파는 지대를 잉여나 불로소득으로 간주하는 고전경제학파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보았다. 그래서 초기 신고전경제학파의 ⓑ 클라크는 토지를 노동이나 자본과 같은 생산 요소의 하나로 보고, 지대를 ‘한계생산이론’에 입각하여 새롭게 정의했다. 이 이론은 공급자와 수요자가 다수인 완전경쟁시장을 전제로 생산 요소의 가 격은 그것의 한계생산가치, 즉 생산 요소 한 단위를 추가함으로써 얻게 되는 생산량 증가분만큼의 가치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토지의 임대 가격인 지대도 토지로부터 얻게 되는 생산물의 생산량 증가분만큼의 가치를 반영한 것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이로써 지대를 토지가 생산에 기여한 정도를 반영한 정당한 대가로 보고 토지를 노동이나 자본과 별개로 취급하는 고전경제학파의 관점을 비판했다.
리카도와 클라크의 논의는 신고전경제학파의 ⓒ 마셜의 이론으로 이어진다. 마셜은 초기 신고전경제학파의 한계생산이론을 발전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고전경제학파의 지대론을 재해석함으로써, 자신의 이론을 전개했다. 우선 마셜은 생산 요소를 생산량이 변함에 따라 투입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생산 요소와 그렇지 않은 고정 생산 요소로 나누고 그에 대한 비용을 각각 가변 비용, 고정 비용이라 정의했다. 이 정의에 따르면 생산량을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 즉각적으로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노동이나 자본은 가변 생산 요소이다. 그러나 토지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큰 규모의 필지를 특정 시기에 목돈을 지불하여 빌리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투입량을 즉각적으로 조절하기 어렵지만 장기적으로는 토지를 빌려 생산량을 늘리 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토지는 단기적으로는 고정 생산 요소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가변 생산 요소로 볼 수 있다. 한편 마셜은 생산자의 행위는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제 하고, 이를 위해서는 생산물 한 단위를 더 늘리는 데 필요한 비용의 추가분 즉, 한계 비용이 생산물 한 단위의 가격과 같아지도록 생산량을 결정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렇다면 한계 비용 은 생산량을 결정하는 데 관여하는 비용이므로 생산량을 늘리거나 줄임에 따라 즉각적으로 변할 수 있는 가변 비용에 한해서만 논의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지대는 단기적으로는 생 산량에 관여하는 한계 비용으로 볼 수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그렇게 볼 수도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마셜은 지대를 생산에 기여하는 비용으로 보는 초기 신고전경제학의 관점과, 임금이나 이자와는 다른 성격을 가진 것으로 보는 고전경제학파의 관점을 자신의 이론 안으로 수용할 수 있었다.
또한 마셜은 지대를 순전히 자연의 혜택으로 인한 것으로 한정하면서 리카도의 차액지대론이 인위적 요소가 개입될 수 있는 토지의 비옥도를 지대 발생의 원인으로 보았다고 비판하였다. 그러는 한편 그는 토지 이외의 요소에도 지대 개념을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이를테면 마셜은 공장, 기계 등 고가의 자본 설비의 경우에는 그것을 이용하는 대가가 지대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준(準)지대’라고 하였다. 이런 요소도 토지처럼 공급을 쉽게 늘릴 수 없다는 점에서 단기적으로는 고정 생산 요소지만, 장기적으로는 가변 생산 요소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마셜은 이전까지의 지대론을 정교화하고 현대 지대론으로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이정전, 「토지 경제학」
'독서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 간의 동맹(2018, 고2, 9월) (0) | 2019.07.24 |
---|---|
고용 관계론(2018, 고2, 6월) (0) | 2019.07.23 |
물가지수(2019, 고2, 6월)*^ (0) | 2019.07.22 |
이자율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2019, 고2, 3월) (1) | 2019.07.21 |
파레토 개선(2014, 고3, 7월AB) (0) | 2019.02.02 |
상업 광고의 규제(2014, 6월모평B) (0) | 2019.01.31 |
인센티브 계약 : 명시적/암묵적(2014, 6월모평A) (1) | 2018.06.12 |
대체효과와 소득효과(2014, 고3, 4월AB)* (1) | 2018.06.08 |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