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원 김홍도, '무동도'


음악은 음을 재료로 하여 이루어지는 예술이므로 재료인 음이 다르면 음악도 달라진다. 우리 음악에서 사용하는 음은 악기 소리든 노랫소리든 서양 악기나 서양 발성의 소리와 확연히 다른 특징이 있다. 서양의 악기나 발성법이 공명 위주로 소리를 띄우고 둥글게 밖으로 내보내려 하는데 비하여, 우리의 악기나 발성법은 공명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고 소리를 안에서 잡고 있으면서 밀기도 하고 당기기도 하며 재료의 본질을 살려 소리를 낸다. 전통음악은 공명 못지않게 재료 본연의 자연스러운 소리를 중시하기 때문에, 가야금과 대금을 만들 때에는 재료인 오동나무와 대나무를 고르는 데 정성을 쏟고, 판소리 명창은  목을 단련하는 데 많은 시간을 쏟는다.


전통음악의 특징은 장단에 잘 나타나 있다. 서양음악의 박자 구조와 달리 전통음악의 장단은 리듬의 형태를 가진 박자의 개념과 함께 빠르기, 강약, 리듬 주기(pattern) 개념까지 포함하고 있다. 전통음악에서 한 장단은 느린 진양조부터 빠른 자진모리에 이르기까지 그 길이가 매우 다양하다. 거기에 비하면 서양음악의 박자는 2박자, 3박자, 4박자 등이 있어서 장단보다 단위도 짧고 구조도 규칙적이고 단순하다. 장단의 흐름이랄까 세(勢)로 보면, 서양음악이 짧은 예비에 이어서 강박이 나오는 반면, 전통음악은 길게 뜸을 들여서 후반부에 힘을 모으고 다시 풀어주는 식이므로 서로 상당한 차이를 나 타낸다.


전통음악의 특징은 선율에도 잘 나타난다. 전통음악의 선율은 어떤 음과 음들을 그냥 ‘뚱~뚱’ 치기만 한다고 해서 완성되지 않는다. 각 음들의 기능을 최대한 살려서 어떤 음은 농현(弄絃)*을 해주고 어떤 음은 위 음에서 아래 음으로 꺾어 내려 주기도 하면서 갖가지 시김새*를 구사하여 선율을 만들어야 된다. 어떤 경우에는 한 음을 역동적으로 쭉 뻗기도 하고, 또 어떤 경우에는 음을 위에서 아래로 슬픈 감정을 가지고 끌어내리기도 하면서, 음악을 죄었다 풀었다 하는 효과를 내기도 한다. 어떻게 화성이 발달하지 않은 우리 음악이 화성이 있는 서양음악과 같은 표현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인지, 무엇 때문에 판소리가 오페라 못지않은 극적 표현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인지, 그 비밀은 바로 전통음악의 선율법과 그것을 표현하는 창법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통음악의 합주는 여러 악기가 각개의 음색을 가지고 그 악기가 지닌 특성과 시김새를 최대한 살리면서 함께 연주하는 것이다. 합주의 선율적인 뼈대는 같다. 그러나 각 악기의 음색이 다르고 연주법이 다르기 때문에 그것들의 어우러짐이 음향의  실함을 만들어 주고 한국적 음악미를 만들어 낸다. 각 악기들은 다른 악기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고 각자의 독립성을 유지하며 완성도 있는 음악을 만들어낸다. 그래서 우리의 합주곡은 합주 자체도 연주곡으로 인정받지만, 그 합주곡의 한두 악기 부분만 떼어내어 연주해도 독립된 연주곡으로 인정받는다. 부분에 해당하는 각 악기의 독립성과 전체에 해당하는 합주의 독립성이 함께 인정되는 얼개인 것이다.


* 농현 : 현악기 연주에서 여러 가지 장식음을 내는 수법

* 시김새 : 좁게는 선율을 이루는 골 음(骨格 )의 앞이나 뒤에서 그 음을 꾸며주는 장식음, 넓게는 다양한 표현 기법


― 최종민, 「한국 전통음악의 미학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