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JJ Ying on Unsplash
한 장의 종이를 반으로 계속해서 접어 나간다면 과연 몇 번이나 접을 수 있을까? 얼핏 생각하면 수없이 접을 수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럴 수 없다. ㉠ 그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종이를 접는 횟수에 따라 종이의 넓이와 두께의 관계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생각해 보자. 종이를 한 방향으로 접을 경우, 한 번, 두 번, 세 번 접어나가면 종이의 넓이는 계속해서 반으로 줄어들게 되고, 두께는 각각 2겹, 4겹, 8겹으로 늘어나 두꺼워진다. 이런 식으로 두께 0.1㎜의 종이를 10번 접으면 1,024겹이 되어 그 두께는 약 10㎝나 되고, 42번을 접는다면 그 두께는 439,805㎞로 지구에서 달에 이를 수 있는 거리에 이르게 된다. 물론 이때 종이를 접으면서 생기는 종이의 두께는 종이의 길이를 초과할 수 없으므로 종이 접기의 횟수 역시 무한할 수 없다.
다음으로, 종이를 접는 횟수에 따라 종이의 길이와 종이가 접힌 모서리 부분에서 만들어지는 반원의 호 길이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자. [A]처럼 종이의 두께가 t이고 길이가 L인 종이를 한 번 접으면, [B]처럼 접힌 모서리 부분이 반원을 이루게 된다. 이때 이 반원의 반지름 길이가 t이면 반원의 호 길이는 πt가 된다. 결국 두께가 t인 종이를 한 번 접기 위해서는 종이의 길이가 최소한 πt보다는 길어야 한다. 예를 들어 두께가 1㎝인 종이를 한 번 접으려면, 종이의 길이가 최소 3.14㎝보다는 길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종이를 한 방향으로 두 번 접는 경우에는 [C]처럼 접힌 모서리 부분에 반원이 3개 나타난다. 그래서 모서리에 생기는 반원의 호 길이를 모두 합하면, 가장 큰 반원의 호 길이인 2πt와 그 반원 속의 작은 반원의 호 길이인 πt, 그리고 처음 접힌 반원의 호 길이인 πt의 합, 즉 4πt가 된다. 그러므로 종이를 한 방향으로 두 번 접으려면 종이는 최소한 4πt보다는 길어야 한다. 종이를 한 번 더 접었을 뿐이지만 모서리에 생기는 반원의 호 길이 합은 이전보다 훨씬 커진다. 결국, 종이 접는 횟수는 산술적으로 늘어나는 데 비해 이로 인해 생기는 반원의 호 길이의 합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종이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다면 계속해서 종이를 접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출전) 이광연, 「이광연의 수학 블로그」
이해를 돕는 문항들
27. 윗글의 내용을 <보기>와 같이 정리할 때, ㉮~㉰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 ㉯ ㉰
① 줄어들고 두꺼워지고 작아진다
② 줄어들고 두꺼워지고 커진다
③ 줄어들고 얇아지고 커진다
④ 늘어나고 얇아지고 커진다
⑤ 늘어나고 얇아지고 작아진다
① 접는 종이의 두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② 접는 종이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③ 종이를 접는 방법의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④ 종이를 접으면서 생기는 모서리의 모양이 일정하기 때문에
⑤ 종이를 접으면서 모서리에 생기는 반원의 호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독서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의 하루는 왜 길어지는 것일까?(2015, 고2, 9월)* (0) | 2019.08.26 |
---|---|
소포체 스트레스, 소포체 스트레스 반응(2015, 고2, 11월)* (0) | 2019.08.24 |
옥신의 이동과 작용과정(2016, 고2, 3월) (1) | 2019.08.16 |
사람들의 공간 지각 능력에 차이가 나는 이유(2016, 고2, 6월) (0) | 2019.08.16 |
내호흡의 과정(2016, 고2, 11월)* (0) | 2019.08.16 |
동물의 눈동자 모양은 왜 다를까?(2017, 고2, 9월) (0) | 2019.07.30 |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를 통한 비행기의 위치 파악(2018, 고2, 11월)* (0) | 2019.07.29 |
효소와 저해제(2018, 고2, 9월) (0) | 2019.07.23 |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