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Clem Onojeghuo on Unsplash



미술 작품은 사용된 재료의 자연적 노화 현상이나 예기치 않은 사고, 재해 등으로 작품의 일부가 손상되기도 하는데, 손상된 작품을 작가의 의도를 살려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려 놓는 것을 미술품 복원 작업이라고 한다. 복원 작업을 할 때 에는 미관적인 면보다는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에 초점을 맞추어 인위적인 처리를 가급적 최소화하여야 한다.


미술품 복원 작업은 목적에 따라 예방 보존 작업과 긴급 보존 처리 작업, 보존 복원 처리 작업으로 ㉠ 나눌 수 있다. 먼저 예방 보존 작업은 작품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는 작업으로, 작품 보존에 적합한 온도 및 습도를 제공하고, 사고 예방 안전 장비를 설치하는 등 작품 전시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여 작품의 수명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한 모든 활동이 해당된다. 긴급 보존 처리 작업은 작품의 손상이 매우 심해서 빠른 시일 내에 보존 처리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작품들을 선별하여 위험 요소를 제거하거나 철거하는 작업으로, 허물어져 가는 벽화를 보강하거나, 모자이크 형식의 작품 사이에 생긴 잡초를 제거하는 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작품의 깨진 조각을 재배열하여 조합하는 경우처럼 작품의 일부가 심하게 없어지거나, 파손되었을 때에는 보존 복원 처리 작업을 실시한다. 이 작업을 진행할 때에는 작품이 만들어진 목적과 작가의 의도를 살려야 하기 때문에, 작품의 원본과 작품에 대한 완전한 이해와 존중이 요구된다.


미술품 복원 작업은 작품의 상태를 조사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이를 위해 육안으로 작품을 조사하기도 하지만, 주로 ‘X선투과사진법’을 이용한다. X선은 파장이 0.01 ~ 10nm인 전자파로 파장의 길이가 매우 짧은 편이다. 파장이 짧은 전자파는 물체를 투과하는 성질이 있는데, 파장이 짧을수록 투과력이 증가하며, 물체의 밀도가 크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투과력은 감소한다. 또한 X선은 필름을 감광[각주:1]시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미술품을 사이에 두고 X선원의 반대 측에 필름을 놓은 후 X선을 쪼이면, 필름에 흑백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때 X선의 투과력이 감소할수록 투과율 또한 감소하여 물체의 영상은 필름에 하얗게 나타난다. 따라서 흑백의 명암 차를 분석하면 물체의 밀도와 두께뿐만 아니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미술품의 손상 부위도 찾아낼 수 있는 것이다.


작품의 상태를 조사한 후에는 손상 정도에 맞게 복원 작업을 진행하는데, 작품을 오염시키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작업을 먼저 실시한다. 이 작업은 작품이 원래의 모습을 찾도록 하는 데 큰 기여를 하지만, 여러 가지 화학 약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품에 손상을 가할 위험성이 매우 큰 작업이다. 따라서 클리닝 작업을 실시하기 전에는 작품에 사용된 재료의 화학 성분을 분석해야 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 ‘형광X선분석법’이다. 작품을 이루고 있는 재료의 원소는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의 중심에 있는 원자핵은 양자와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원자핵 주변에는 전자가 있다. 원소마다 고유의 원자핵 구조와 전자 수를 가지고 있으며, 원소의 전자는 원자핵 주위를 정해진 궤도를 따라 돌고 있다.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에 X선을 쪼이면, 안쪽 궤도의 전자는 X선과 충돌한 후 밖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그 자리를 바깥쪽에 위치한 전자가 이동하면서 원소에 따라 고유의 형광X선이 발생하는데, 이 형광X선의 파장을 분석하면 실험 재료 속에 포함되어 있는 원소의 종류를 알 수 있다. 또한 원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을수록 형광X선의 방출량이 증가하므로, X선의 세기를 측정하면 원소의 양 또한 알 수 있다. 이러한 형광X선분석법은 실험 재료를 파괴하지 않고 분석할 수 있으며, 측정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고, 측정 또한 몇 분 만에 완료되기 때문에 벽화나 단청처럼 측정 대상을 이동시키기 어려운 경우의 성분 분석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클리닝 작업을 마친 미술품은 이후 여러 과정을 거쳐 원래의 모습을 회복하게 된다. 이처럼 우리 주변의 미술 작품들은 끊임없는 복원 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원래의 모습을 간직하며 그 생명을 연장해 왔다. 따라서 미술 작품을 감상할 때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감상한다면 작품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출전) 히라오 요시미츠, <문화재를 연구하는 과학의 눈>





다른 상황에 적용하기


17. [A][각주:2]를 바탕으로 <보기>의 영상을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보기> 밀도가 같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목판의 글자가 일부 손상되어 복원 작업을 하려고 한다. 목판을 복원하기 전에 ‘X선투과사진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영상을 얻었다.


① ⓐ~ⓓ 중에서 X선의 투과율이 가장 낮은 곳은 이겠군.[각주:3]

② 파장이 짧은 X선을 사용할수록 ⓒ는 더 검게 나타나겠군.

③ ⓑ를 보니 목판에는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손상 부위가 있겠군.

④ ⓐ와 ⓒ의 명암 차이는 해당 부위의 목판 두께가 다르기 때문이겠군.

⑤ ⓓ는 목판의 해당 부위가 손상되었기 때문에 ⓐ보다 검게 나타난 것이겠군.

  1. * 감광 : 사진에서, 필름에 바른 감광제에 빛을 쬐어 흑백의 상을 만듦. [본문으로]
  2. 3단락 전체. [본문으로]
  3. 3단락을 통해 X선의 투과력이 감소할수록 투과율이 감소하며, 물체의 영상은 필름에 하얗게 나타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중에서 가장 하얗게 나타난 곳은 ⓐ이다. 따라서 ⓐ~ⓓ 중에서 X선의 투과율이 가장 낮은 곳은 ⓐ이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