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미술의 특징은 무한한 다원성에 있다. 어떤 내용을 어떤 재료와 어떤 형식으로 작품화하건 미술적 창조로 인정되고, 심지어 창작 행위가 가해지지 않은 것도 ‘작품’의 자격을 얻을 수 있어서, ‘미술’과 ‘미술 아닌 것’을 객관적으로 구분해 주는 기준이 존재하지 않게 된 것이다. ㉠단토의 ‘미술 종말론’은 이러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미학 이론 중 하나이다. 단어가 주는 부정적 어감과는 달리 미술의 ‘종말’은 결과적으로 모든 것이 미술 작품이 될 수 있게 된 개방적이고 생산적인 상황을 뜻한다. 그런데 이러한 다원성은 전적으로 새로운 상황일까, 아니면 이전부터 이어져 온 하나의 흐름에 속할까?
작품의 형식과 내용이 전적으로 예술가의 주체적 선택에 달려 있다는 관점에서만 보면, 20세기 미술의 양상은 아주 낯선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르네상스 때 시작된 화가의 서명은 작품이 외부의 주문에 따라 제작되더라도 그것의 정신적 저작권만큼은 예술가에게 있음을 알리는 행위였다. 이는 창조의 자유가 예술의 필수 조건이 되는 시대를 앞당겼다. 즉 미켈란젤로가 예수를 건장한 이탈리아 남성의 모습으로 그렸던 사례에서 보듯, 르네상스 화가들은 주문된 내용도 오직 자신만의 방식으로 이미지화했다.
형식의 이러한 자율화는 내용의 자기 중심화로 이어졌다. 17세기의 네덜란드 화가들은 신이나 성인(聖人)을 그리던 오랜 관행에서 벗어나 친근한 일상을 집중적으로 그리기 시작했고, 19세기 낭만주의에 와서는 내면의 무한한 표출이 예술의 생명이 되기에 이르렀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20세기 미술은 예술적 주체성과 자율성의 발휘라는 일관된 흐름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단토가 주목하는 것은 이러한 흐름과는 결정적으로 구분되는 20세기만의 질적 차별성이다. 이전 시대까지는 ‘미술’ 과 ‘미술 아닌 것’의 구분은 ‘무엇을 그리는가?’ 또는 ‘어떻게 그리는가?’의 문제, 곧 내용・형식・재료처럼 지각 가능한 ‘전시적 요소’에 의존하여 가능했다. 반면, 20세기에는 빈 캔버스, 자연물, 기성품 등도 ‘작품’으로 인정되는 데에서 보듯, 전시적 요소로는 더 이상 그러한 구분이 불가능해진 것이다. 이제 ㉡그러한 구분은 대상이 어떤 것이든 그것에 미술 작품의 자격을 부여하는 지적인 행위, 곧 작품 밖의 ‘비전시적 요소’에 의존할 따름이다. 현대 미술이 미술의 개념 자체를 묻는 일종의 철학이 되고, 작품의 생산과 감상을 매개하는 이론적 행위로서 비평의 중요성이 부각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독서 >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능주의 건축과 탈피 움직임(2014, 고3, 3월A) (1) | 2018.06.05 |
---|---|
베토벤 교향곡의 음악사적 의의(2013, 수능B) (0) | 2018.06.02 |
선암사 승선교에 담긴 미의식(2013, 수능A) (0) | 2018.06.02 |
영화의 음향(2013, 고3, 10월AB) (0) | 2018.06.02 |
한옥의 창호(2013, 9월모평A)* (0) | 2018.06.01 |
픽토리얼리즘 ➔ 스트레이트 포토 ➔ 디지털 픽토리얼리즘(2013, 고3, 7월B) (1) | 2018.05.29 |
캄피돌리오 광장(2013, 6월모평AB) (0) | 2018.05.28 |
미니멀리즘 조형(2013, 고3, 4월B) (0) | 2018.05.27 |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