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rawpixel.com on Unsplash


자본주의 사회에 빈부 격차가 있듯이 디지털 정보사회에도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 간의 격차가 있다. 디지털 매체의 도입 초기에는 ⓐ매체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정보 격차가 곧 사라질 것으로 보는 낙관론이 우세하였다. 물론 정보 격차에 관한 비판적 관점도 있었지만 이 경우에도 매체 접근의 차이는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정보 격차는 사회에서 부분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며 접근 비용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 자연적으로 해결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2000년대 초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후(後) 채택 이론(post-adoption theory)’에 따르면, 정보 격차는 다차원으로 존재하며 지속된다. 저렴한 디지털 매체의 보급과 함께,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의 차이로 정보 격차를 설명하는 이분법적 논리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정보 격차 문제는 다각도로 접근해야 한다. ㉠디지털 장비와 서비스에 대한 단순한 물리적 접근의 격차는 감소하는 반면에 새로운 유형의 격차가 증가한다. 디지털 매체에 대한 접근 격차가 해소되면서 또 다른 정보화 불평등이 나타나는 것이다. 정보 격차에 대한 현재의 논의들은 크게 이용의 자주성과 사용 여건의 공평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용의 자주성은 상황에 알맞게 디지털 매체를 적절히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디지털 매체에 대한 접근 가능성은 높아졌지만 여전히 두려움과 거부감을 갖는 사람들이 있다. 이것은 이용 능력의 부족에서 오는 심리적 위축감에서 비롯될 수 있다. ㉡디지털 시스템의 운용 장애를 해결하지 못하면서 겪는 열등감도 문제이다. 나아가 디지털 매체에서 획득한 정보를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상황에 능동적으로 적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이와 같이 이용의 자주성이 해결되지 않으면, 디지털 매체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더라도 실제로 이를 풍부하게 활용하기가 힘들다. 


사용 여건의 공평성은 사회적 관계망과 같은 이용 기회의 균등성을 의미한다. 매체 활용 능력이 향상되었더라도 주변 환경의 개선이 없다면 정보 격차는 지속된다. 개인이 처한 여건에 따라 ㉣활용법을 열심히 습득하였지만 자신의 희망과는 반대로 이용 기회가 적을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이 디지털 매체의 이용 방법을 알고 활용을 원할지라도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정보 격차는 발생한다. 


오늘날 연구에 의하면, 정보 격차의 새로운 측면들은 소득, 교육, 연령, 성별, 지역, 신체적 장애 등과 같은 인구 사회적 변인과 결합된다. 이것은 보다 세부적인 불평등을 야기하고 정보 활용의 질적 차이를 낳아서, ㉤개인의 학업 성취도와 노동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향후 개인이 처한 상황과 디지털 매체를 이용하는 사회적 맥락에 따라 정보 격차의 존재와 유형은 지금보다 훨씬 복합적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