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연시조 (2)

문학/문학이론

사시가(四時歌)(2017, 고3, 4월)

조선 시대에 자연을 노래한 시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시가(四時歌)는 일반적으로 사계절의 순서에 따른 완상을 담은 노래들을 뜻한다. 고려 중기 이후 사대부층 사이에서 자연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었는데, 사시가는 이러한 관심과 중국 한시 및 고려 한시의 영향 속에서 형성되었다. 시간의 흐름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사시가는 1년을 열두 달로 나누어 각 달의 세시 풍속이나 정서 등을 노래한 월령체가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월령체가는 주로 민요에서 나타나는 데 비해 사시가는 한시나 가사, 연시조에서 주로 나타난다. 특히 각 연이 유기적으로 구성된 연시조는 사시의 흐름을 담아내기에 적합했다. 일반적으로 사시는 사계절로 인식된다. 그러나 시간 인식의 기준에 따라 사시는 한 달의 네 때인 삭(朔), 현..

문학/고전시가

「속미인곡」+「사노친곡」(2018, 고2, 11월)*

*친년: 어머님 연세.*영로: 고갯길.*애일촌심: 부모님을 모실 시간이 흐르는 것을 안타까워하는 마음. *여림심연: 깊은 못 가에 있는 듯 조심스러움.*유찬이 박벌: 죄가 너무 커서 귀양 보내는 일이 오히려 가벼운 처벌임. 이해를 돕는 문항들 38. [A]와 [B]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③ [A]와 [B]는 모두 설의적 표현을 사용하여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39. 를 바탕으로 (가)와 (나)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정쟁(政爭)으로 인한 낙향이나 유배는 많은 문학 작품 창작의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작품에 드러난 그리움과 원망의 정서는 충과 효를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없는 작가의 처지에서 기인한다. 그리움은 이별의 슬픔, 임금에 대한 연모와 감사, 가족에 대한 염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