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현대인은 대인 관계에 있어서 가면을 쓰고 살아간다. 물론 그것이 현대 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인간의 기본적인 조건인지도 모른다. 어빙 고프만 같은 학자는 사람이 다른 사람과 교제를 할 때,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인상을 관리하려는 속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즉, 사람들은 대체로 남 앞에 나설 때에는 가면을 쓰고 연기를 하는 배우와 같이 행동한다는 것이다.
왜 그런 상황이 발생하는 것일까? 그것은 주로 대중 문화의 속성에 기인한다. 사실 20세기의 대중 문화는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인간형을 탄생시키는 배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광고는 내가 다른 사람의 눈에 어떻게 보일 것인가 하는 점을 끊임없이 반복하고 강조함으로써 ㉮사람들에게 조바심이나 공포감을 불러일으키기까지 한다. 그 중에서도 외모와 관련된 제품의 광고는 개인의 삶의 의미가 ‘자신이 남에게 어떤 존재로 보이느냐?’라는 것을 무수히 주입시킨다. 역사학자들도 ⓑ‘연기하는 자아’의 개념이 대중 문화의 부상과 함께 더욱 의미 있는 것이 되었다고 말한다. 그들은 적어도 20세기 초부터 ‘성공’은 무엇을 잘하고 열심히 하는 것이 아니라 ‘인상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한다. 이렇게 자신의 일관성을 잃고 상황에 따라 적응하게 되는 현대인들은 대중매체가 퍼뜨리는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취향을 형성해 가고 있다.
이렇듯 현대인의 새로운 타자 지향적인 삶의 태도는 개인에게 다른 사람들의 기대와 순간의 욕구에 의해 채워져야 할 빈 공간이 될 것을 요구했다. 현대 사회에서 각 개인은 사회 적응을 위해 ⓒ역할 수행자가 되어야 하고, 자기 스스로 자신의 연기를 모니터하면서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사회적 가면’을 쓰고 살아가게 되었다. 이는 세련되었다는 평을 받는 사람들의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흔히 거론되는 ‘신세대 문화’의 특성 중 하나도 ⓓ‘사회적 가면’의 착용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신세대는 구세대에 비해 훨씬 더 솔직하고 가식이 없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가면’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자기를 감추거나 누구를 속인다는 부정적인 의미만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신세대는 남에게 보이는 자신의 모습에서 만족을 느끼는 정도가 크기 때문에 그런 만족을 얻기 위해 기울이는 노력이 크고, 그것은 ⓔ자신의 자아를 돌아볼 여유도 없이 ‘가면’에만 충실하게 되는 것이다.
㉠과거를 향유했던 사람들은 비교적 사람의 내면 세계를 중요시했다.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은 허울에 불과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 인간 관계에 있어, 그 누구도 타인의 내면 세계를 깊이 알려고 하지 않거니와 사실 그럴 만한 시간적 여유도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런 이유로 무언가 ‘느낌’으로 와 닿는 것만을 중시하며 살아간다. 그 ‘느낌’이란 것은 꼭 말로 설명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겉으로 드러난 모습에 의해 영향을 받게 마련이다. 옷차림새나 말투 하나만 보고도 금방 그 어떤 ‘느낌’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사람을 단지 순간적으로 느껴지는 겉모습만으로 판단한다는 것은 위험하기 짝이 없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은 겉모습에서 주어지는 인상에 의해 상대방을 파악하고 인식하는 것을 거부하지 못하는 데에 문제가 있다.
― 강준만, 『대중 문화의 겉과 속』
'독서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유목 시대(2005, 고3, 7월) (0) | 2018.03.12 |
---|---|
남녀 성차를 언급하는 것(2005, 6월모평) (5) | 2018.03.12 |
공론장으로서의 텔레비전 토론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2005, 6월모평) (0) | 2018.03.12 |
청소년의 길거리 문화(2005, 6월모평) (4) | 2018.03.11 |
증권시장의 유용성과 자기참조모델(2005, 고3, 3월) (0) | 2018.03.11 |
신문의 특정 후보 지지(2004, 수능) (3) | 2018.03.11 |
똘레랑스의 원리(2004, 고3, 10월) (1) | 2018.03.11 |
언론의 범죄 보도(2004, 9월모평) (0) | 2018.03.11 |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