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지질(脂質)을 대표하는 중성지방은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방산은 탄소 사슬에 수소가 결합되어 있는 분자 구조를 갖는데, 탄소 사슬 내의 탄소와 탄소가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가를 기준으로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으로 구분한다.


(나)

포화지방산에서 나타나는 탄소 결합 형태는 연결된 탄소끼리 모두 단일 결합하는 모습을 띤다. 이때 각각의 탄소에는 수소가 두 개씩 결합한다. 이 결합 형태는 지방산 분자의 모양을 일자형으로 만들어 이웃하는 지방산 분자들이 조밀하게 연결될 수 있으므로, 분자 간 인력이 높아 지방산 분자들이 단단하게 뭉치게 된다. 이 인력을 느슨하게 만들려면 많은 열에너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지방산을 함유한 지방은 녹는점이 높아 상온에서 고체로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이 지방산 분자에는 탄소 사슬에 수소가 충분히 결합되어, 수소가 분자 내에 포화되어 있으므로 포화지방산이라 부르며, 이것이 들어있는 지방을 포화지방이라고 한다. 


(다)

불포화지방산에서 나타나는 탄소 결합 형태는 연결된 탄소들끼리 단일 결합하는 가운데 일부의 탄소 쌍에서 이중 결합하는 모습을 띤다. 이때 이중 결합하는 탄소 쌍의 탄소에는 단일 결합한 탄소들과 달리 수소가 하나씩만 결합한다. 자연 상태의 불포화지방산 대부분은 이중 결합 탄소 쌍에 있는 수소가 같은 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이 지방산 분자는 탄소 이중 결합이 나타나는 지점에서 구부러지는 모양이 나타난다. 이중 결합이 여러 개이면 구부러짐 현상도 여러 개 생기는데, 이러한 모양 때문에 이웃하는 지방산 분자들이 상대적으로 멀게 연결되어 분자 간의 인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이 지방산을 포함한 지방은 녹는점이 낮아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하게 되는데, 탄소 이중 결합 수가 많을수록 녹는점은 낮아진다. 그리고 이 지방산 분자는 탄소 이중 결합 때문에 분자 내에 수소가 불포화되어 있으므로 불포화지방산이라고 부르고, 이 지방산을 포함한 지방을 불포화지방이라고 한다. 


딸림문항에서 (나)와 (다)의 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


(라)

포화지방은 체내의 장기 주변에 쌓여 장기를 보호하고 체내에 저장되어 있다가 에너지로 전환되어 몸에 열량을 내는 데 이용된다. 그러나 이 지방이 저밀도 단백질과 결합하면,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부에 쌓여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고 혈관 내부의 압력을 높여 심혈관계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돼지 지방과 같은 동물성 지방, 팜유와 코코넛 유, ⓐ버터에 들어있는 지방이 대표적인 ⓑ포화지방으로 이것이 들어 있는 음식을 장기간 과잉 섭취하면 피하 및 장기 내부에 누적되어 비만을 일으킨다. 


(마)

불포화지방은 동물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지방은 세포막의 투과율을 높여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하고 체내로 영양소를 흡수하는 일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이 지방은 혈관 벽에 붙어있는 콜레스테롤 입자들을 녹임으로써 혈액의 순환이 잘 되도록 돕는다. 아울러 이것은 뇌와 신경조직을 구성하는 요소 가운데 하나로, 장기간 섭취하지 않으면 인지 기능과 학습 능력, 시각 기능 등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고기 기름, 올리브기름과 들기름과 같은 식물성 기름, 땅콩 같은 견과류의 지방이 불포화지방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 최혜미 외, 「21세기 영양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