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현상과 인간사를 인과 관계로 설명하는 동아시아의 대표적 논의는 재이론(災異論)이다. 한대(漢代) 의 동중서는 하늘이 덕을 잃은 군주에게 재이를 내려 견책한다는 천견설과 인간과 하늘에 공통된 음양의 기(氣)를 통해 하늘과 인간이 서로 감응한다는 천인감응론을 결합하여 재이론을 체계화하였다. 그에 따르면 군주가 실정(失政)을 저지르면 그로 말미암아 변화된 음양의 기를 통해 감응한 하늘이 가뭄과 홍수 일식과 월식 등 재이를 통해 경고를 내린다. 이때 재이는 군주권이 하늘로부터 비롯된 것임을 입증하는 것이자 군주의 실정에 대한 경고였다.
양면적 성격의 재이론은 신하가 정치적 논의에 참여할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하였고 재이가 발생하면 군주가 직언을 구하고 신하가 이에 응하는 전통으로 구체화되었다. 하지만 동중서 이후 원인으로서의 인간사와 결과로서의 재이를 일대일로 대응시켜 설명하는 개별적 대응 방식은 억지가 심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방식은 오히려 ㉠예언화 경향으로 이어져 재이를 인간사의 징조로 인간사를 재이의 결과로 대응시키는 풍조를 낳기도 하였고 요망한 말로 백성을 미혹시켰다는 이유로 군주가 직언을 하는 신하를 탄압하는 빌미가 되기도 하였다.
이후 재이에 대한 예언적 해석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천인감응론 또한 부정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재이론은 여전히 정치 현장에서 사라지지 않았다. 송대(宋代)에 이르러 주희👤는 천문학의 발달로 예측 가능하게 된 일월식을 재이로 간주하지 않는 경향을 수용하였고 재이를 근본적으로 이치에 의해 설명되기 어려운 자연 현상으로 간주하였다. 하지만 당시까지도 재이에 대해 군주의 적극적인 대응을 유도하며 안전한 언론 활동의 기회를 제공했던 재이론이 폐기되는 것은 신하의 입장에서 유용한 정치적 기제를 잃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그는 군주를 경계하는 적절한 방법을 ⓐ찾고자 재이론을 고수하였다. 그는 재이에 대한 개별적 대응 대신 군주에게 허물과 잘못이 쌓이면 이에 하늘이 감응하여 변칙적인 자연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는 ㉡전반적 대응설을 제시하고 재이를 군주의 심성 수양 문제로 귀결시키며 재이론의 역사적 수명을 연장하였다.
@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4~9번 (나)
○ 함께 출제된 지문
https://takentext.tistory.com/783
'독서 > 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증법을 바탕으로 한 헤겔의 미학과, 비판(2021, 수능) (0) | 2023.08.01 |
---|---|
고전 검사 이론과 문항 반응 이론(2021, 고3, 10월) (0) | 2023.08.01 |
반자유주의논증과 비판(2021, 9월모평) (0) | 2023.08.01 |
소멸에 관한 수직적・수평적 모순에 인간이 대처해 온 방식(2021, 고3, 7월) (1) | 2023.08.01 |
새먼의 과정 이론(2021, 6월모평) (0) | 2023.04.04 |
동양 철학의 인식론(2021, 고3, 3월)^ (0) | 2022.10.27 |
서구 철학의 인식론(2021, 고3, 3월)^ (0) | 2022.10.27 |
18세기 후반 청의 사회·경제적 현실(2020, 수능) (0) | 2022.10.25 |
🥤댓글 .